해외 주식에서 수익이 났다고 좋아하셨나요? 전체 잔고가 마이너스라면 세금은 안 낼 줄 알았다고요?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라면, 절세의 기본부터 다시 점검할 때입니다. 미국 ETF로 돈 벌었는데 1000만원 세금 폭탄 맞은 실제 사례, 지금 확인하세요!
5월은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의 달, 지금이 가장 중요합니다.
해외주식 수익 냈더니 세금폭탄? 실제 사례
작년 국내 주식에서 1억 원의 손실을 본 김동섭 씨는 미국 ETF(QQQ 등)로 갈아타며 5000만 원 수익을 냈습니다. 전체 계좌는 여전히 마이너스. 당연히 세금은 안 낼 줄 알았는데, 올해 5월, 무려 **1045만 원의 양도세 고지서**를 받게 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체 손익이 마이너스라도 세금은 낸다?
많은 분들이 “손실이 더 큰데 왜 세금이 나오냐”고 반문합니다. 핵심은 세법이 전체 잔고가 아닌, ‘과세 대상 자산끼리만 손익을 통산’하기 때문입니다. 즉, **국내 주식 손실은 해외 주식 이익과 상계되지 않으며, 해외 수익에 대해서는 무조건 세금이 부과**됩니다.
해외주식·ETF에 부과되는 세금 구조
해외주식과 해외 ETF는 매도 차익에 대해 **22% 세율(양도세 20% + 지방세 2%)**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QQQ를 팔아 5000만원 이익을 봤다면, **기본공제 250만원을 제외한 4750만원에 대해 1045만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손익통산의 비밀… 알면 줄일 수 있다
같은 해에 매도한 해외 주식끼리는 손익을 합산할 수 있습니다. 테슬라에서 5000만원 수익, 다른 종목에서 5000만원 손실이라면 상계되어 **세금 0원**도 가능합니다. 다만 국내 상장주식 손실과는 상계되지 않으니 구분 관리가 중요합니다.
절세의 핵심! 250만원씩 나눠 매도하라
매년 **250만원의 양도차익에 대해 기본공제**가 적용됩니다. 5년간 수익을 한 번에 실현하면 공제는 250만원. 하지만 매년 나눠서 실현하면 총 125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어 절세 효과가 큽니다. 아내의 “조금씩 나눠 팔라”는 말은 정답이었던 셈입니다.
표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예시
구분 | 금액 |
---|---|
해외주식 양도차익 | 50,000,000원 |
기본공제 | -250,000원 |
과세표준 | 47,500,000원 |
양도소득세(20%) | 9,500,000원 |
지방소득세(2%) | 950,000원 |
총 납부 세액 | 10,450,000원 |
Q&A
Q1. 국내 주식 손실이 있어도 해외주식 세금을 내야 하나요?
A. 네. 국내 상장주식 손실은 해외주식과 손익 상계가 되지 않습니다.
Q2. 미국 상장된 쿠팡도 해외주식인가요?
A. 맞습니다. 상장된 시장이 해외면 '해외주식'으로 분류되어 양도세 과세 대상입니다.
Q3. QQQ 같은 미국 ETF도 세금이 부과되나요?
A. 네. 매도 차익에 대해 양도세 22%가 부과됩니다.
Q4. 손익통산은 어떤 경우 가능하나요?
A. 해외주식끼리는 연도 내 손익 통산이 가능합니다. 국내주식과는 별개입니다.
Q5. 세금 신고는 언제 해야 하나요?
A. 해외주식은 **익년 5월에 확정신고 1회만 하면** 됩니다.
결론
해외 주식으로 수익을 냈다면 반드시 세금까지 고려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무턱대고 전량 매도하면, 예상치 못한 ‘세금폭탄’을 맞을 수 있죠. 매년 250만원 기본공제를 활용하고, 손익 통산을 전략적으로 고려한다면 내야 할 세금을 줄이는 것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절세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지금 바로 5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준비를 시작하세요!